- 포텐셜리
- Posts
- 꿈의 현실화: 뇌과학이 말하는 잠재력의 열쇠
꿈의 현실화: 뇌과학이 말하는 잠재력의 열쇠
당신의 상상이 현실이 된다면? 뇌는 이미 그 준비를 마쳤다
포텐셜리 뉴스레터 Vol.7

안녕하세요, 포텐셜리의 쟈스민입니다!
오늘은 꿈의 현실화, '마인드풀 매니페스테이션(Mindful Manifestation)'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꿈을 이루는 과정, 잠재력을 뇌과학적으로 접근해 보고 싶어요.
🧠 꿈의 현실화: 뇌과학이 말하는 잠재력의 열쇠
꿈을 현실로 만든다. 이 말을 들으면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사실 너무 ‘흔한 말’ 이라 크게 와닿지 않을 수도 있지만, 최근 뇌과학의 발견들은 꿈과 현실 사이의 놀라운 관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스탠포드 대학의 신경외과 의사이자 닥터 도티의 삶을 바꾸는 마술가게 (Into the Magic Shop)의 저자인 제임스 도티 교수는 뇌와 마음, 그리고 현실 창조의 관계에 대해 과학적으로 접근합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책 중에 한권인데요, 아직 안 읽어보셨다면 꼭 한번 읽어보세요!)
그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의 뇌는 실제 경험과 상상하는 경험을 같은 신경 회로를 통해 처리합니다. 다시 말해, 뇌에게는 '실제로 경험하는 것'과 '생생하게 상상하는 것'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는 거죠.
뇌가 현실을 창조하는 방식
기업 교육이나 비즈니스 코칭을 할때 저는 자주 학습자 (고객분들)에게 ‘미래를 선언해 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이런 주문을 받은 어른들은, 대부분 반응이 시큰둥 하시죠. ‘지금 우리가 발을 딛고 있는 현실은’ 문제 투성이니까요. 수익이 낮고, 관계가 어그러져있고, 미래는 불투명한 상태.
저같은 외부 교육자가 갑자기 ‘꿈을 현실로 만드는 작업’을 주문하면 반응이 그리 뜨겁지 않습니다. (무슨 청소년 교육도 아닌데, 이런 작업을 시키냐? 이런 핀잔이 가장 많은 것 같아요.)
"네?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쓰라고요? 그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하지만 이 질문에는 심오한 과학적 근거가 있습니다. 도티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뇌의 망상활성화체계(Reticular Activating System, RAS)는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있습니다. 즉, 우리가 무엇을 '믿고' 집중하느냐에 따라 뇌가 실제로 인식하는 현실이 달라진다는 것이죠.
오래전 뉴스레터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다시 말씀 드리면- 제가 14년전에 제가 싱가포르에 오게 된 것도 RAS 덕분이었습니다. 한 금융기관에 가서 리더십 교육을 할때 ‘꿈을 그리는 작업’을 하면서 저도 같이 그렸었어요. 싱가포르에 가서 글로벌 비즈니스 코칭을 하고 싶다는 ‘허황된’ 글과 그림을 그렸죠. 그리기만 한게 아니라, 자발적으로 발표를 했습니다. 그 교육에 오셨던 모 증권 영업장 리더분들에게도 제가 그린 것들을 보여드리며 이야기를 했죠.
기업 강사가 자신의 꿈을 교육생들에게 나누는 일이 그때만해도 흔하지 않았죠. 근데, 제가 꾼 꿈이 ‘돈 벌어서 치킨집을 열겠다’가 아니라 ‘싱가포르에 가서 코치로 일하겠다’라고 말하니, 오히려 저의 꿈을 북돋아 주시더군요. 초등학생이 우주 비행사가 되고 싶다고 말하는 것과 비슷했을까? 그런 생각도 드네요.
그런데 무서운 일은 이겁니다. 정확하게 3개월 뒤, 저는 싱가포르에 ‘글로벌 코치’ 포지션으로 인터뷰를 하러 날아갑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저는 그저 운이 좋았던 것일까요?
도티 교수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우리의 뇌는 우리가 의도적으로 집중하는 것에 맞춰 필터링 시스템을 조정한다. 그리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기회와 자원을 더 잘 발견하게 된다.”
명료하죠? :)
'의도적 상상'과 '무의식적 걱정'의 차이
우리는 누구나 하루 평균 6-7만 가지의 생각을 합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생각이 부정적이고 무의식적이라는 점이에요. "내가 실패하면 어쩌지?", "나는 이걸 할 수 없어" 같은 생각들이 우리의 뇌를 지배하곤 합니다.
도티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이런 부정적 생각들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을 증가시키고,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며, 심지어 우리 DNA의 텔로미어(염색체 말단)를 짧게 만들어 노화를 촉진하기도 합니다.
반면, '의도적 상상'은 도파민과 엔도르핀 같은 긍정적 호르몬을 분비시키고,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도티 교수는 이것을 '마음의 코히어런스(coherence)'라고 부릅니다 - 뇌, 심장, 그리고 전체 신체 시스템이 조화롭게 작동하는 상태를 말하죠. 현재 저속노화가 인기 토픽이던데, 의도적 상상으로 저속 노화의 이점도(?) 누려보세요!
나의 경험: 부정적 시나리오에서 긍정적 현실로
작년 여름, 한번도 해보지 않은 대형 프로젝트를 시작해야 했어요. 솔직히 두려움이 컸습니다. '시간이 부족하면 어쩌지?', '퀄리티가 떨어지면 어쩌지?' 같은 걱정들이 머릿속을 가득 채웠죠. 잠을 자도 자꾸 ‘잘 못해내는’ 저만 보여서 너무 힘들었어요.
그때 도티 교수의 '심장 코히어런스 기법'을 시도해봤어요. 하루에 15분씩, 의도적으로 시간을 냅니다. 심장에 주의를 기울이고,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상태를 생생하게 상상했습니다. 단순히 '될 거야'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감각을 동원해 이미 성공한 상태를 경험했죠.
그 결과는? 놀랍게도 제가 걱정했던 문제들은 대부분 발생하지 않았어요. 오히려 예상치 못한 도움과 자원들이 나타났고, 프로젝트는 아주 성황리에 완료되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과정 자체가 스트레스가 아닌 즐거움으로 가득했다는 점이죠. 저의 심장(공포를 만드는 감정)을 관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것도 엄청난 기쁨이었고요. 공포에 잠식 되지 않았다는 것으로도, 너무 기뻤고 뿌듯했습니다.
🫀 꿈의 현실화를 위한 뇌과학적 접근법
이제 여러분도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소개해드릴게요:
감각적 시각화 (Sensory Visualization): 단순히 목표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이미 성취한 상태를 모든 감각으로 경험해보세요. 어떤 소리가 들리나요? 어떤 느낌인가요? 누가 축하해주나요? 도티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다중 감각을 활용한 시각화는 뇌의 더 넓은 영역을 활성화시킵니다.
심장 코히어런스 (Heart Coherence): 하루에 5분, 심장 부위에 주의를 기울이고 심호흡하며 감사함이나 사랑과 같은 긍정적 감정을 느껴보세요. 이는 심장과 뇌의 전기적 패턴을 동기화시켜 스트레스를 줄이고 직관력을 높입니다.
자기 대화 조정 (Self-Talk Recalibration): 내면의 대화를 의식적으로 관찰하고 조정하세요. '나는 할 수 없어'를 '나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로 바꾸는 것만으로도 뇌의 문제 해결 회로가 활성화됩니다.
증거 수집하기 (Evidence Gathering): 매일 저녁, 당신의 꿈이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는 증거를 찾아보세요.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좋습니다. 이는 망상활성화체계(RAS)를 재프로그래밍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신체적 행동 취하기 (Physical Priming): 당신이 되고 싶은 사람처럼 몸짓, 자세, 표정을 취해보세요. 하버드 심리학자 에이미 커디의 연구에 따르면, 단 2분의 '파워 포즈'만으로도 테스토스테론은 증가하고 코르티솔은 감소한다고 합니다.
👣 꿈을 현실로: 실천하는 주간 도전
이번 주, 여러분께 작은 도전을 드립니다. 매일 아침 5분, 여러분의 가장 큰 꿈이 이미 실현된 것처럼 상상해보세요. 그리고 매일 저녁, 그 꿈을 향해 나아간 작은 증거 하나를 기록해보세요.
도티 교수의 말처럼, "당신이 매일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바로 당신이 창조하는 것입니다."
일주일 후, 여러분이 발견하게 될 변화가 기대됩니다.
당신의 뇌는 이미 꿈을 현실로 만들 준비가 되어 있어요. 이제 그저 올바른 방향으로 '훈련'시켜주기만 하면 됩니다.
We deliver your potential. 🎁
포텐셜리,
쟈스민 드림
P.S 여러분의 꿈을 저에게도 들려주세요! 최대한 구체적으로, 세밀하게. 여러분의 RAS가 반짝 켜지도록 저도 곁에서 잘 듣고 응원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