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텐셜리
- Posts
- 밤 9시 30분의 문자, 그리고 두 가지 진실
밤 9시 30분의 문자, 그리고 두 가지 진실
하.하.클- '하기 싫은 것 하는 클럽' 창당했습니다.

포텐셜리 뉴스레터 Vol.15
안녕하세요, 포텐셜리의 자스민입니다.
지난 뉴스레터에서 똑똑한 전문가들이 오히려 자기소개를 어려워하는 이유에 대해 이야기 나눴죠. 많은 분들이 "완전 제 얘기인 줄 알았다"며 공감의 메시지를 보내주셨어요. 역시 저만 그렇게 느낀 게 아니었나 봐요. 👻
지난 주에 약속드렸죠? 혼자서도 흩어진 경험의 조각을 꿰어낼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다고요. 오늘 드디어 '내러티브 설계 미니 워크북'을 공개합니다.
그런데 워크북을 공개하기에 앞서, 최근 저의 삶과 코칭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은 작은 습관 하나를 먼저 공유하고 싶어요.
매일 밤 9시 30분의 문자, 그리고 두 가지 진실
저는 요즘 한 코칭 고객과 매일 밤 9시 30분에 아주 간단한 문자를 주고받습니다. 그 내용은 이러합니다.
“하기 싫은 거, 두려운 거, 귀찮은 거, 괴로운 거 그 중에 무엇을 했냐면…”
지난번 코칭에서 30개 정도 리스트를 써달라고 부탁드렸죠. 하기 싫고, 무섭고, 어려울것 같고… 우리에게는 그런 리스트 다 있잖아요? 그리고 그걸 고객에게 ‘매일 하나씩’ 해보자고 제안하고 동기를 더 드리기 위해 ‘저도 하겠다!’라고 말씀 드렸죠. 그래서 서로 약속했어요. 매일 밤 9:30에 문자를 해보자고요.
솔직히 처음엔 이게 효과가 있을까 싶었어요. 자기계발이 아니라 '자기괴롭힘' 아닌가? 하고요. 그런데 웬걸, 효과는 상상 이상이었습니다. 이 작은 리추얼/습관을 통해 저는 두 가지 엄청난 진실을 발견했습니다. (고객을 도와드리려고 했는데, 어째 내가 더 혜택을 받는 듯한 느낌이? 😇)
첫째, ‘삶의 관성'이 깨졌습니다.
억지로 싫은 걸 해보면서 마주하는 진실들이 있더군요. 그 안에는 늘 꾸물대고, 쉽게 오해하고, 지레 겁먹던 '날 것 그대로의 저'가 있었습니다. 그 모습을 직면하니, 세상을 '좋아하는 일'과 '싫어하는 일'로 나누는 이분법이 얼마나 의미 없는지 깨닫게 되었어요.
둘째, 제 이야기가 몇 배는 더 풍성해졌습니다.
맨날 하던 일, 좋아하던 일만 했을 땐 이야기의 폭이 좁았죠. 하지만 이제는 ‘하기 싫은 데이터 정리’를 통해 배운 끈기, ‘어려운 부탁’을 하며 깨달은 용기에 대한 새로운 에피소드들이 생겼습니다. 이야기거리가 많아지니, 신기하게도 삶에 활력이 더 돌더군요.
이 경험은 제가 ‘하하클(하기 싫은 거 하기 클럽)’이라 부르는 활동의 핵심이 되었어요. 그리고 여러분의 이야기를 찾는 데 아주 강력한 소스가 될 수 있습니다.
자, 이제 이 새로운 관점을 가지고 진짜 '나의 이야기'를 설계해 볼까요?
나만의 내러티브 만들기: 3-STEP 미니 워크북
거창하게 들리지만, 사실은 간단한 3단계 질문에 답하며 생각을 정리하는 과정이에요. 지금 바로 노트나 메모장을 켜고 따라와 보세요!
STEP 1: 재료 수집 (필터링 없이 쏟아내기)
나의 커리어를 구성하는 모든 경험 조각들을 꺼내보는 단계입니다. 좋고 나쁨을 판단하지 말고, 일단 최대한 많이 적어보세요.
가장 성공적이었거나 자랑스러웠던 프로젝트
완전히 실패했지만, 돌이켜보면 무언가 배운 경험
남들은 잘 모르지만, 나 혼자 뿌듯했던 작은 성취
(하하클 Point!) 정말 하기 싫었지만, 책임감으로 끝까지 해낸 일 (오늘의 핵심입니다!)
동료나 상사, 고객에게 자주 듣는 칭찬이나 피드백 (예: "자스민님은 복잡한 걸 쉽게 잘 설명해주세요.")
Tip: AI의 힘을 빌려보세요! ChatGPT에게 "내가 했던 프로젝트 A, B, C와 하기 싫었지만 해낸 일 D, E 경험을 바탕으로 나의 잠재적 강점 키워드 10가지를 나열해줘" 라고 입력하면 생각지 못한 키워드를 발견할 수 있어요.
STEP 2: 핵심 키워드 연결 (점 잇기)
이제 쏟아낸 재료들 사이에서 반복되는 패턴이나 공통된 주제를 찾아 연결하는 단계입니다. 아래 질문에 답해보세요.
이 경험들 사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나의 행동 방식은 무엇인가? (예: 항상 먼저 문제점을 정의한다, 사람들을 모아 설득한다 등)
가장 어려웠던 순간, 나는 어떤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나?
(하하클 Point!) 하기 싫은 일을 기어코 해냈을 때, 나의 어떤 강점이 발휘되었나? (끈기? 책임감? 위기관리 능력? 디테일함?)
이 과정을 통해 '성실함', '문제 해결 능력' 같은 평범한 단어 대신, '아무도 안 하려는 궂은일을 맡아 결국 시스템을 만드는 사람'처럼 훨씬 구체적인 나만의 키워드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STEP 3: 한 문장 스토리라인 완성 (컨셉 정의하기)
연결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나의 정체성을 한 문장으로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이것이 바로 당신의 '내러티브 코어'가 됩니다.
[나는 ________ 라는 문제를 겪는 사람들을 위해, 나의 ________ 라는 강점/경험을 바탕으로, ________ 라는 가치를 만들어내는 전문가입니다.]
이 공식에 맞춰 문장을 만들어보세요.
(예시 1: 지난 호 인사팀장님) "저는 성장의 길목에서 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조직을 위해, 19년간 쌓아온 '털어놓고 싶은 편안함'이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신뢰 기반의 문화를 만드는 인사 전문가입니다."
(예시 2: 하하클을 적용한 마케터) "저는 반짝하는 캠페인에 지친 브랜드를 위해, '하기 싫은 데이터 분석'까지 파고드는 끈기를 바탕으로, '성장의 시스템'을 설계하는 마케터입니다."
어떠신가요? '그냥 마케팅하는 사람'에서 훨씬 더 입체적인 전문가의 모습이 보이지 않나요?
이 3단계만 거쳐도, 여러분의 자기소개는 완전히 달라질 수 있어요.
참, 여러분도 저와 하하클을 1:1로 해보실래요?
저에게 여러분이 정말 하기 싫었지만 필요했던 일, 무서웠지만 꼭 돌파해야 했던 것, 난 못할거야 믿었던 그 도전을 ‘진짜로 (작게라도 도전) 해보시고’ 답장으로 알려주세요. 저도 답장으로 저의 하하클을 알려드릴게요! 😄
앞으로 여러분을 가장 많이 변화시킬 이야기는, 어쩌면 가장 두렵고 어색한 그 경험에서 시작될지도 모른답니다!
멋진 한 주 보내시고, 다음 레터에서 또 흥미로운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
We design your narrative. 🎁
포텐셜리,
자스민 드림